자가용 승용자동차 2대소유자가 자동차보험 가입기간 중 사고로 1대 폐차 또는 매매 후 새로운 자가용 승용자동차 구입시 또는 2대 중 1대 처분 후 1대추가하여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? 개인에 상황에 따라 두가지 방법 중 택일하여 가입해야합니다. 동일증권 추가와 차량대체가 있습니다. 동일증권 추가와 차량대체에 대하여 장단점 비교해 봅니다~ (동일증권추가 및 차량대체_비교) 1.(사고차량에) 차량대체 <단점> - 3년간 할인안됨(사고승계) - 3년간 사고건수 추가 및 특별할증(사고승계) - 평가대상기간내 추가 사고발생시 보험료 극단적 상승 부담 위험. - 동일증권추가 대비 요율불리하게 적용(소유한 전체차량에 불리) <장점> - 차량 보험가입경력이 대체 전 차량에 연결 연속성으로 보험료 계산 유리함. - 동일증권추가 대비 보험료 소액 또는 일부환급 가능. - 보험가입경력 연속성. 2.동일증권추가(일반적인 업무처리) <단점> - 차량 보험가입경력 최초적용 보험료 상승 불리 - 차량대체 대비 일시적 보험료 고액일 수 있음 - 보험가입경력 단기로 일부기간 손해될 수 있음 <장점> - 2회보험 갱신부터 할인됨 - 특별할증 부분 적용없음 - 평가대상기간내 추가 사고발생시 사고 건수 분산으로 유리함. - 차량대체 대비 요율 계산 유리하게 적용(소유한 전체차량에 지속적 유리) |